정보 (15) 썸네일형 리스트형 헬레니즘 시대의 수학 (유클리드) 헬레니즘 시대의 수학을 이끈 학자들 에우클레이데스 (유클리드) 헬레니즘 시대에 주목할 만한 수학자로는 '원론'을 작성한 에우클레이데스(4세기 중반-3세기 중반 무렵 BCE)를 들 수 있겠다. 유클리드라는 이름으로 우리에게 친숙한 에우클레이데스는 당대 큰 명성과 최고의 영향력을 가진 수학자 중 한 사람이었다. 그는 아카데미아에서 공부한 후 알렉산드리아로 이주하여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후원을 받으며 무세이온에서 활동했다. '기하학의 아버지'로 알려진 에우클레이데스의 대표적인 업적으로는 고대 그리스 기하학의 성과들을 논리적인 체계로 정리한 '원론'이 있다. 13권으로 이루어진 '원론'은 이후 수학을 공부하려는 사람이 처음 배우게 되는 교과서적인 역할을 하였고 성서 다음으로 많이 읽히게 되었다고 한다. 이 책에.. 무세이온과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헬레니즘) 무세이온과 알렉산드리아 도서관 헬레니즘 마케도니아 헬레니즘은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드로스 대왕 (356-323 BCE)이 제국을 건설한 이후 고대 그리스의 뒤를 이어 나타난 문명으로, 그리스, 이집트, 바빌로니아, 인도 및 기타 동방문화가 갈협 된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알렉산드로스는 기원전 334년 페르시아, 소아시아, 지중해 연안, 이집트, 중앙아시아, 인도의 북서부 지역까지 정복 했다. 이러한 그의 동방정복 활동은 그리스 문화가 다른 문화의 영향을 받는 계기를 마련함과 동시에 고대 그리스 문화를 넓은 지역에 퍼뜨리는데 영향을 주었다. 정복지역 사람들의 반발도 물론 있었겠지만 문화를 배척하지 않고 융합을 시도함으로써 그러한 불만을 잠재운 알렉산드로스이다. 한때 아리스토텔레스의 가르침을 받았던 알렉.. 고대 그리스의 수학과 의학 개념 고대 그리스의 수학과 의학 고대 그리스의 수학과 의학은 어땠나.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자연철학 이외에 후대 학자들이 주목한 그리스의 학문 전통으로는 수학과 의학이 있었다. 먼저 수를 통해 세상을 이해한다는 전통은 피타고라스(Pythagoras)로부터 시작되었다. 피타고라스는 만물의 근본을 수라고 상정했다. 사모스 섬에서 태어난 그는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 지방 등을 여행한 뒤 이탈리아에 정착하여 자신의 추종자들을 모아 종교 집단을 형성했다. 수비 주의적 색채를 강하게 띠고 있던 그들은 영혼 불멸을 믿었으며, 영혼 정화를 위해 수학을 사용했다. 피타고라스 주의자들은 음악, 천문, 기하학, 정수론 등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악기의 현의 길이와 음의 진동수를 연구하여 오늘날 잘 알려진 피타고라스 음계를 만..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철학 소개 아리스토텔레스 자연철학 아리스토텔레스 자연철학은개념 아리스토텔레스는 북부 그리스의 마케도니아 지역에서 대대로 명의를 배출한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마케도니아 왕의 주치의 였다. 이오 ㅏ같은 집안 분위기에 따라 아리스토텔레스는 어려서부터 의학 교육을 받앗고, 당시 의사가 되기 위한 필수 교육 중 하나가 철학이었다. 그래서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이 세운 아카데미아에서 17세부터 공부하기 시작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기원전 347년 플라틴이 죽을 때까지 20년 동안 아테네에 머물렀으며, 이후에는 소아시아 지역의 해안 지방을 여행하면서 생물학, 특히 해양 동물학 분야에서 많은 경험적 자료를 얻었다. 그리고 그는 기원전 335년 아테네가 마카도니아의 지배를 받게 되자 다시 아테네로 돌아와 리케이온 이라는.. 밀레토스 학파가 과학사에서 중요한 이유와 플라톤의 자연철학 밀레토스 학파의 과학사에서 중요한 이유, 플라톤의 자연 철학 밀레토스 학파가 과학사에서 중요한 이유 밀레토스의 탈레스를 비롯하여 소크라테스 이전에 활동했던 그리 자연철학자들이 과학사에서 중요한 이유는 신화적 자연관에서 탈피하여 자연현상을 설명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밀레토스 학파는 신화적 자연관 시대의 사람들과는 달리 물질의 본성과 변화의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졌고, 구체적인 사물로부터 일반적인 성징들을 추출해 내었다. 또한 엠페도클레스를 제외한 대부분의 초기 자연철학자들은 대체적으로 감각보다는 이성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그리스 자연 철학의 기초를 마련했다. 고대 그리스에서 이와 같은 새로운 지적 탐구, 즉 자연철학이 출현할 수 있었던 이유로 여러 요인을 꼽을 수 있다. 먼저 그리스의 지리적 상황.. 엠페도클레스의 4원소설을 받아들인 플라톤 엠페도클레스 4원소설을 인정한 플라톤 플라톤의 물질 이론 수학 특히 기하학을 중시하는 플라톤 자연철학의 특성은 그의 물질 이론에서 드러난다. 엠페도클레스의 4원소설을 받아들인 플라톤은 물, 불, 공기, 흙의 4원소를 정다면체와 연결 지어 설명했다. 관련 그림을 보면 정사면체는 불 원소, 정육면체는 흙 원소, 정팔면체는 공기 원소, 정이십면체는 물 원소에 대응되어 있다. 이렇게 대응 시킨 이유른 몇가지만 살펴보면 흙 원소는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져 가장 안정적인 모양을 하고 잇는 정육면체에 대응되었다. 불 원소는 불이 손에 닿았을 때 통점을 자극하기 때문에 가장 뾰족하고 날카롭게 생긴 정사면체에 대응시켰다. 정다면체는 구 다음으로 가장 완벽하다고 여겨졌던 기하학적 대상이었으므로 수학적으로 구성된 세상을 설명하.. 고대 그리스 과학 시작과 소개 고대 그리스의 과학 시작 과학의 시작 호메로스의 위대한 서사시 '일리아드'와 '오디세이', 헤시오도스의 '신통기'는 고대 그리스인들의 관념을 엿볼 수 있는 작품들이다. 오디세이에서는 신들이 인간사에 개입하는 사례가 등장하고 신통기에서는 태초의 혼돈으로부터 제우스가 다스리는 질서 있는 통치가 이루어지는 짧은 역사를 읽을 수 있다. 이처럼 호메로스와 헤시오도스가 보여주는 당시 고대 그리스는 신들이 사람의 모습으로 인간사에 개입하고, 자신들의 계획과 음모에 인간을 이용하는 세계였다. 이때 자연세계와 그 안에서 일어나는 자연현상은 모두 인격화 또는 신격화되어 설명되었다. 과학사에서는 이 시대를 흔히 신화적 자연관의 시대라고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기원전 6세기 초 그리스의 동쪽 이오니아의 밀레토스르 중심으로 새.. 이전 1 2 다음